경기도어린이박물관

팝아트가 궁금해?! 현대미술 작가 2인과 함께하는 어린이 참여형 프로그램 열려

2022.11.29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188
팝아트가 궁금해?! 현대미술 작가 2인과 함께하는 어린이 참여형 프로그램 열려

‣ 경기도어린이박물관, 경기도 문화의 날 맞아 오는 12월 3일 어린이 현대미술 프로그램 <POP! POP! 도도랜드> 개최

행사명 2022 어린이예술제 4. POP! POP! 도도랜드
일시 2022년 12월 3일 토요일
오전 10시 30분 ~ 12시 30분
오후 2시 30분 ~ 5시
장소 경기도어린이박물관 1층· 3층 일대
관람 연령 5세 이상
주최·주관 경기문화재단, 경기도어린이박물관
참여작가
프로그램
[도로시 작가]
프로그램명 : 색동 콜라주로 대형 요술봉 작품 만들기
참여 장소 : 박물관 1층 의무실 앞
참여 방법 : 현장 접수 (선착순 순차 입장)
15분마다 25명 참여

[도파민 작가]
프로그램명 : 나만의 도파민을 그려 ‘도파민 월드’ 작품 만들기
참여 장소 : 박물관 3층 에코아틀리에
참여 방법 : 사전 예약+현장접수(잔여인원)
참여 인원 : 시간별 20명
시작 시간 : 오전 10:30, 11:00, 11:30, 12:00
오후 2:30, 3:00, 3:30, 4:00, 4:30
경기문화재단 경기도어린이박물관(관장 문성진)에서는 11월 ‘경기도 문화의 날’ 주간을 맞아 오는 12월 3일(토)에 어린이 참여형 현대미술 프로그램인 <POP! POP! 도도랜드>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경기도어린이박물관이 2020년부터 개최해 온 어린이예술제의 일환으로 경기도 문화의 날에 박물관을 찾는 어린이 관람객에게 음악, 미술, 무용 등 다양한 예술 장르를 제공하여 어린이들의 예술적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워주자는 취지에서 시작되었다. 앞서 올해 박물관 어린이예술제는 어린이 관람객 대상 연극·공연 프로그램을 총 3차례 진행하여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체험 거리와 볼거리를 제공한 바 있다.

올해의 마지막 예술제 프로그램인 <POP! POP! 도도랜드>는 팝아트 미술 장르를 어린이들의 눈높이에서 더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 준비되었다. 이번 행사는 팝아트 예술가인 도로시 엠 윤(윤미연) 작가와 도파민최(최종환) 작가의 설치 작품을 감상하고, 작가와 함께 예술 작품을 만들어보는 어린이 참여형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어린이들이 직접 팝아트를 느끼고 체험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이번 행사 참여작가인 도로시 엠 윤은 2019년 베니스비엔날레 초청작가로 회화, 설치,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현대미술 장르를 아우르며 국내외에서 활동하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에는 작가가 작품의 주요 소재로 사용하는 색동과 요술봉을 박물관에 그대로 가져와 색동 대형 토마토 설치 작품과 색동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특히, 어린이들은 참여형 프로그램인 ‘색동 콜라주로 대형 요술봉 작품 만들기’를 통해 완성된 요술봉 작품으로 각자가 바라던 환상의 세계를 상상해볼 수 있다.
또한, 국내 MZ세대를 대표하는 팝 아티스트 도파민최는 그동안 ‘도파민(Dopamine)’을 소재로 한 핑크색 팝아트 캐릭터를 통해 관객들에게 행복 호르몬을 전달해 왔다. 이번에 작가는 ‘나만의 도파민을 그려 <도파민 월드> 작품 만들기’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들이 직접 그린 각양각색의 도파민 캐릭터를 작가가 구축한 ‘도파민 월드’ 설치물에 함께 구현하는 공동 작품을 제작한다.

한편, 어린이 참여형 프로그램은 12월 3일 토요일 오전 10시 30분부터 12시 30분, 14시 30분부터 17시까지 운영 시간대별로 진행되며, 작가와 어린이들이 함께 만든 작품은 12월 4일 일요일까지 박물관 내 전시될 예정이다. 모든 프로그램은 박물관 회차별 입장권 별도 예매 후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프로그램 참여 방법은 당일 현장 접수(도로시 엠 윤 프로그램)와 경기도어린이박물관 누리집을 통해 사전 예약(도파민 최 프로그램)으로 가능하다. 행사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어린이박물관 누리집과 공식 SNS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경기도어린이박물관 누리집 gcm.ggcf.kr 인스타그램 @g_childrens_museum

붙임 1. 작품 이미지 (대용량 파일_별첨)
 

1. 메인포스터 이미지_2022 어린이예술제4. 어린이 참여형 현대미술 프로그램 <POP! POP! 도도랜드>
 

2. 작품 이미지(1)_도로시 엠 윤, 숨쉬는 색동 토마토, 4000×2700(mm), 색동천, 2020
 

3. 작품 이미지(2)_도로시 엠 윤, 색동 아우라 AR과 Nreal 공연, 2021
 

4. 작품 이미지(3)_도로시 엠 윤, 요술봉(12 지신과 12 별자리), 자수, 2019~2020
 
5. 작품 이미지(4)_도파민최, Dopamine, 가변, 2022
 

6. 작품 이미지(5)_도파민최, Dopamine World, 목공 설치, 4000x1200mm, 2022

붙임 2. 참여작가 소개

도로시 엠 윤(윤미연)

학력
2007 골드스미스, 순수예술학 석사, 런던, 영국
2001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조소과 석사, 서울
1999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대학 조소과 학사, 서울

개인전
2021 44개 색동요술봉과 색동아우라Ⅱ, 화인페이퍼 갤러리, 서울
2021 44개 색동요술봉과 색동아우라, ADM 갤러리, 서울
2016 Super Shy 전, 일년만 미슬관, 서울
2015 Girls from North and Boys from South, 트렁크갤러리, 서울
2011 도로시엠 윤 사진전 로코코 넘버.33B, 갤러리 현대 16번지,윈도우 전시, 서울
2009 8명의 히로인즈, 도로시 윤 런던 데뷔개인전, 살롱갤러리, 런던, 영국
2009 8명의 히로인즈, 앤드류 제임스 아트 갤러리, 상하이, 중국
2008 13의 금발들 , 앤드류 제임스 아트 갤러리, 상하이 중국
2008 도로시 M 윤, 13의 금발들, 갤러리S, 서울

주요 단체전
2022 Crossing, 파라다이스 아트랩, 인천파라다이스 시티호텔, 인천
2020 색동정원 <바이오필리아:흙 한줌의 우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
천안독립프로젝트 ‘그날은 봄’, 천안 예술의전당 미술관, 천안
2019 제58회 베니스비엔날레 May You Live In Interesting Times 베니스비엔날레, 스와치 faces 2019 pavillion(아세널), 베니스, 이탈리아
2018 Here/Ever-Nowhere/Never, 스와치아트피스아트센터, 상하이, 중국
Exit, 뉴델리 한국문화원, 뉴델리, 인도
‘프레임을 넘나들다(freme, freely)-주제전’, 대구사진 비엔날레,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17 내가 사는 피부, 소마미술관, 서울
보고 10다(난지미술창작 10기 리뷰전), SeMA 창고, 서울
시그마 프라블럼=헬조선, 서울예술재단, 서울

레지던시
2020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_R 크리에이터레지던시, 광주
2019 Ace PIRAR-Proyecto ACE, 부에노스 아이레스, 아르헨티나
2019 Bilbaoarte, 빌바오, 스페인
2018 EXIT, 뉴델리 한국문화원, 뉴델리, 인도
2017 스와치 Art Peace Hotel 레지던시, 상하이, 중국
2016 서울시립미술관 난지 창작스튜디오, 서울
2013 경기문화재단 경기창작센터, 경기도
2012 국립현대미술관, 고양 레지던시, 경기도
CEAAC, 스트라스부르, 프랑스

도파민최(최종환)

학력
킹스턴 대학교, 일러스트레이션&애니메이션 학사, 런던, 영국

개인전
2022 도파민최 : Sweet revolution, 김현주갤러리, 서울
2018 Pink brain, 퍼블릭 갤러리, 서울
2018 도파민랩, OMAE 갤러리, 서울

주요 단체전
2022 키아프2022, 코엑스, 서울
2021 DREAM + MANSTER, 천안시립미술관, 서울
2021 SPECTRUM, 서울옥션 강남센터, 서울
2021 키아프2021, 코엑스, 서울
2020 I_MEME_U, 문화비축기지, 서울
2020 예술해독제 KF-94 FACTORY, 롯데백화점 강남점, 서울
2019 족쇄와 코뚜레, OCI미술관, 서울
2019 Quantum leap, 송원아트센터, 서울
2018 뉴타운 프로젝트, 아모레퍼시픽 본사, 서울
2018 레트로 서울1920, 신당창작아케이드, 서울
2017 Start, 사치갤러리, 런던, 영국

레지던시
서울문화재단 신당창작아케이드 입주작가, 2018~2019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